본문 바로가기
직장 (이직) + 대학원

석사 or 박사 학위 받고 대기업 제약회사에 입사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가?

by Biopharma Explorer 2021. 2. 5.
반응형

바이오 제약 연봉

https://biopharmaexplorer.tistory.com/313

 

일본 여행, 맛집 블로그도 운영 중입니다.
https://interstylejapan.tistory.com/

 

Inter Style JAPAN

BE가 만든 일본관련 블로그입니다. 일본 여행, 맛집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합니다

interstylejapan.tistory.com

 

Youtube: 링크

Instagram: 링크

카카오톡 (오픈채팅, 80여명): 링크
비밀번호: 링크

BE consulting: 링크

 

 

바이오제약 정보 교류회에서도 받았던 질문이지만, 

그동안 여러 경로로 같은 질문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관련 글을 포스팅해보기로 했다. 

 

일단 바이오제약회사에 입사할 확률을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진짜 너무 많이 들었던 질문이라 나도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고...ㅋㅋ

 

1. 바이오제약 관련 학과 졸업생의 수

바이오제약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매년 5만 7천명 정도라고 한다. 

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09212132Y

 

바이오산업 신분야 이끌 전문인력 필요…정부가 양성 나서

바이오산업 신분야 이끌 전문인력 필요…정부가 양성 나서, 사회

www.hankyung.com

Booking.com

내가 알기로도 바이오를 전공한 사람은 엄청나게 많고, 이것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반응형

 

2. 바이오 전공을 하는 이유?

1. 재미있어 보인다 (?): 나도 어렸을 때 생물학을 매우 좋아했다. 동물을 좋아하고, 동물 나오는 다큐를 많이 봤던 기억이 많다. 하지만 불행히도 동물은 바이오가 아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쉬워 보인다 (?): 온갖 공학 수학이 나오고, 물리 처럼 천재가 하는 학문은 아니다. 몇몇 바이오 연구 분야에서는 수학, 통계를 많이 사용하지만 연구의 메인 툴은 아니다. 따라서 진입은 매우 쉬운 편이고, 보통은 암기력이 높은 여성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내가 느끼기에 바이오 학과에서 여성이 성적이 잘 나오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3. 제약회사 근무는 멋있어 보인다 (?): 흰색 가운을 입고, 아무도 해 본 적이 없는 영화에서나 나오는 연구를 수행할 것 같은 착각이 있는 것 같다. 보통 바이오제약 업계에 없는 사람들이 가지는 환상의 하나이다. 하지만 당연히 현실과는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 ㅋㅋㅋ 누구도 해본 적이 없는 연구를 절대로 하지 않고 누구나 해왔던 연구, 개발을 하게 될 것이다. 

 

4. 연봉이 그나마 좋은 편이다 (?): 나는 같은 노력을 투입했다면 절대로 바이오는 안하는 것이 미래에 좋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 노력을 경제학, 데이터 사이언스, 프로그래밍에 노력을 투입한다면 아주 쉽게 바이오제약 회사에서 받을 수 있는 연봉을 가볍게 뛰어넘는다. 

 

 

 

3. 상위 제약사의 채용인원은? 

상위제약사라고 하더라도 뽑는 인원은 많지가 않다. 이게 현실이다. 

 

그럼 상위 제약사 30개의 인원 증가수는 어느 정도인가? (링크)

 

 

 

2020년 상위 제약사 30개 회사에서는 1351명이 늘어났다고 한다. 

이 1351명이 전부 신입사원은 아닐 것이고, 그 보다 작은 규모의 제약사, 바이오벤처에서 이직한 사람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대략 1000명 정도의 신입사원이라고 생각해보자. 사실은 그것보다 적을 것이다...

 

매년 1000/57000명의 확률은 1.75%다. 

숫자만 고려할 수는 없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긍정적으로 1000명이 전부 신입사원이라고 상정하더라도 1.75%의 확률로 당신은 상위 30개 제약회사에 들어갈 수 있다. 

자 그렇다면 보통의 학사, 석사, 박사의 비율 (40: 40: 20)을 대입해 보면 

학사: 0.70%

석사: 0.70%

박사: 0.35%

정도라는 결과가 나온다.

이것보다는 입사 확률이 훨씬 높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아마도 57000명이라는 숫자 안에 학력의 차이, 출신 학교의 차이, 개인적인 능력(영어, 학점, 역량)등을 고려하면 실질 경쟁력은 꽤나 내려갈 것이다. 

그러한 것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1/3로 줄어든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고 하더라도 실질 확률은 2% 정도의 확률이다. 

 

내 생각에 2% 정도의 확률이라면 입사 경쟁률은 50:1이다. 국가 공무원 경쟁률이 수십, 수백명 중에 한 명 뽑는 것에 비하면 그렇게 차이가 없어 보인다. 높은 것은 맞는데, 아마 그것은 공무원 경쟁률과 비슷한 수준인가? 

 

학력별 입사 난이도는 내가 생각했을 때 경쟁률이 입사 난이도라고 생각한다면 학석사는 경쟁률의 차이가 없고, 박사는 학석사에 비해서 그 포지션의 수가 1/4, 1/5 정도이기 때문에 4배, 5배 정도 어렵다고 생각한다. 

 

 

 

4. 대학원 진학을 해야 하는 것인가? 

따라서 지금 이 문제를 고민하는 사람의 상황에 따라서 고민의 전략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1. 고등학생: 바이오가 아닌 다른 분야 추천. 굳이 왜? 힘든 과정이 보여도 이겨낼 자신과 확신이 없다면 어차피 낙오됨. 주위 사람의 조언을 듣기만 하지 말고 자신만의 판단을 위해서 필터링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이게 안된다면 사람마다 하는 말이 다 다르다며 혼란스러워함. 

2. 대학생: 바이오전공이면 복수 전공으로 다른 분야 추천. 그래도 좋다면 연구개발은 석사가 아니면 어렵기 때문에 경영지원 직무로 지원하는 것을 추천. 연구개발 직무를 원한다면 석사는 거의 필수. 

3. 대학원생: 상위 제약가 어렵다면 중견 제약사, 바이오벤처 등으로 신입으로 입사해서 2, 3년 후 이직하는 전략 추천. 이직은 또 다른 세상이기 때문에 쉽지 않지만...

 

나는 고등학생, 대학생 진로를 정할 때 조언하는 사람 (주로 담임선생, 교수)들이 너무 형편없는 조언을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닌가 싶다. 나에게 아무도 이런 현실을 말해주는 사람은 없었다. ㅋㅋㅋ 그들의 목표는 학생이 어디든 진학을 하는 것이지 제대로된 고민을 해주는 사람은 없다 사실. 목표가 다르다고 해야 할까? 

 

뉴스, 기사에서 말해주는 현실의 인식 수준은 형편 없다. 

 

 

바이오시밀러, 잭팟, 막대한 현금, K-bio....미친 무슨 도박이냐? ㅋㅋㅋ

 

한국 바이오제약 업계의 현실은 세계적 수준과 비교했을 때 애기 수준이다. 요즘? 바이오시밀러가 대세라고 난리를 치고 있지만, 사실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같은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의 출시일은 2000년 전후이다.

거의 15년, 20년 전에 글로벌 파마들이 만들었던 바이오의약품의 복제품을 이제 만들어서 팔고 있다고 무슨 산업의 게임 체인져가 될 수는 없다.

그래서 그런지 제약회사의 규모, 기술선도 등은 글로벌 파마를 따라잡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15년 전에 출시된 제품은 언제부터 연구한 것일까? 그보다 10년 전일 것이다. 그럼 1990년 정도부터 연구 시작한 제품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등)을 한국 바이오시밀러 회사들은 이제 개발만 해서 팔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내 생각에는 바이오항체의약품이 아닌 세포, 유전자 치료제를 이용한 희귀 질환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 중간 진입 전략으로 좋고, 바이오벤처가 하기에 희귀 질환 연구 후, 허가 신청에도 유리하기 때문에 적합해 보인다. 

같은 항체의약품을 지금부터 연구해봤자, 그 기술이 쌓였을 때는 이미 산업의 트렌드는 세포, 유전자치료제로 넘어가 있을 것이다. 그것조차 이미 글로벌 파마들이 주도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뉴스만 보면 이런거는 알 수가 없고, 제약회사에서 홍보용으로 받은 자료를 그대로 받아 적은 기사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그런 기사를 보고 바이오제약 학과에 진입하는 학생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사실 별로이다. 미국도 이게 문제라는 기사를 본 기억이 있다. 너무 많은 학생들이 진입한다는...

 

 

 

정확한 현실을 인식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고 싶고 좋다면 선택이 나쁜 것이 있을까? 

"너는 일본어 못하잖아"-> 실제로 히라가나도 몰랐다. 

 

"너는 영어도 못하잖아"-> 실제로 메일 하나 보내는데 시간 오래걸리는 수준이었다. 

 

"너는 돈도 없잖아"-> 석사 인건비 모아서 겨우 초기 유학자금 모아갔다. 사실 그것조차도 빚 ㅋㅋㅋ

 

"너는 나이도 많잖아"-> 2, 3년 늦게 시작한 점이 있어서 친구들은 이미 다 취업 완료. 나만 대학원생.

 

"취업해야지 무슨 대학원, 유학이냐?"-> 낮은 임금, 미래도 보이지 않는 회사, 야근은 일상. 난 별로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내가 모두 실제로 들었던 말들이고 나는 들었지만 내가 몇년 동안 알아본 정보에 비하면 그들이 하는 조언은 단편적이고 선입견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무시하고 내 갈길 오고 잘 이겨왔다고 생각한다. 

물론 저 말을 했던 사람들은 나를 걱정한다며 말한 것이겠지만, 지금 나보다 연봉 높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연봉이 높다고 인생이 행복한 것은 아니겠지만 나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멘탈이 흔들린다. 

"다들 부정적으로 이야기 하는데, 내가 생각한 것이 맞는 것인가?"

이래서 자기만의 논리와 생각의 정리가 필요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조언만 많이 듣고 혼란스러운 입장에 빠진다. 

많이 알아보고 잘 생각하고 판단을 했으면 자신을 믿자. 

반응형

댓글